# 11. 마야 문명과 치첸이트사

2023. 8. 12. 18:49세계사

후 고전기 마야의 문명과 치첸이트사

 

남부 저지대에서 마야 문명의 몰락이 일어났다. 사회 종교의 질서가 무너졌으나 유카탄 북부의 지역에서는 아직 존재하고 있는 마야 인들이 있었다. 고전기라 불리는 이전 시대의 유명 도시 중의 하나인 티칼 등이 무너지자 치첸이트사 같은 북부 중심지역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치첸이트사는 아직 한 번도 도면작업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따라서 정확한 크기와 인구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으며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오늘날 우리에게 마야 문명을 떠올리라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치첸이트사이다. 치첸이트사는 엘 카스티요라고 부르며, 피라미드 형식으로 만들어진 신전이다.

치첸이트사는 당시 마야인들이 섬겼던 신인 쿠쿨칸(깃털 달린 뱀신)을 위한 것이다. 치첸이트사는 착시 효과로도 유명한데, 위 계단에서 마치 뱀이 꿈틀거리며 내려오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이는 계단 북쪽 뱀 머리가 조각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지 유명한 착시 현상은 봄, 가을에 피라미드의 북서쪽 4면을 석양이 비추면 이때 뱀 머리 조각들이 삼각형 그림자를 만든다고 한다. 이것을 아래서 올려다보면 날개 달린 뱀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그림자는 매우 유명해 보통 해마다 봄 가을쯤 수많은 관광객이 치첸이트사를 방문한다. 그러나 사실 이런 착시 효과는 춘분, 추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 몇 주 동안에도 살펴볼 수 있다. 

 

쿠쿨칸을 위한 치첸이트사-마야

 

마야인은 위대한 천문학자?

 

치첸이트사의 1층은 총 91개의 단이있고, 4개의 면의 합이 총 365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1년을 상징하는 365일임을 생각하면 치첸이트사는 마야인들의 뛰어난 천문 기술을 보여주는 예이다. 또한 치첸이트사는 마야 천문학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유명하다.

마야 달력은 몇가지 방법에 의해 나뉘는데 그중 365일을 나타내는 달력은 그레고리력이 탄생하기 이전에 이미 그 정확도가 매우 높았다고 한다. 고대 시대 모든 도시는 천체를 관측할 때 천구 돔의 움직임을 보고 관찰했다. 마야인들은 지구에서 천체 현상을 목격하기 위해 치첸이트사 외에도 많은 건물을 지어 천체를 관찰하였다. 마야 달력은 꽤 복잡하지만 그 정확도와 우수성에서 뛰어나다. 즉 이것은 마야 인들이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하늘에 있는 별들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매우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마야의 달력과 수학

 

치첸이트사에서 살펴보았듯이 마야인은 수학에 강했다. 이들은 달력을 이용하였는데 주요 목적은 농사 및 종교 의례였다. 마야 인들은 적당한 날에 씨앗을 뿌리고, 각 종족의 생년월일을 기록하며 사람의 생애 주기에 대해 관찰하였다.

마야는 우리가 알고 있는 365일의 태양력 외에도 몇 가지 달력을 더 만들었는데 이는 각종 종교 의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마야의 신관들이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 달력공부였다고 한다. 또한 마야인들은 수학에서 이전에 없던 0의 개념을 생각하고 만들어 내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아라비아식 10진법이 아니라 20진법을 사용하였는데, 마야인들은 이미 0의 개념을 도입하고 무한대의 숫자 또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는 마야인이 이미지나 문자, 숫자 등으로 구성된 고도의 발달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마야 신화 이야기

 

마야문명과 치첸이트사에 관한 재밌는 신화가 한가지 있다. 이것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치첸이트사에 살던 카넥이라는 한 어린 왕자가 있었다. 그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매우 용감하고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어느 날 그 왕자는 21살의 삭닉테라는 공주와 사랑에 빠지는데 둘은 서로 사랑했지만 그녀에겐 이미 정혼자가 있었다. 둘은 서로 사랑하고 있고 헤어질 수 없음을 알게 되어 카넥이 삭닉테를 위해 싸울 것을 결심한다. 즉 삭닉테의 예정된 혼인식 날 카넥은 군대를 끌고 나타난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삭닉테를 데리고 탈출한다. 이로 인해 치첸이트사와 약혼자의 도시였던 욱스말과 전쟁이 일어난다. 그리고 욱스말의 군대가 치첸이트사에 도착하고 놀라는데... 사실 카넥은 이 일을 벌이기 전 치첸이트사의 모든 사람들을 이주시켰다. 그리고 삭닉테도 함께 치첸이트사가 아닌 새로 이주한 곳으로 갔다. 따라서 욱스말이 군대를 이끌고 치첸이트사를 쳐들어 왔을 때는 이미 그곳엔 아무도 없었고, 그들이 이주한 새로운 땅도 몰랐다고 한다.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버린 왕자라기보다는 사랑을 쟁취하고 도시도 지켜낸 왕자인 것은 틀림없다." 

마야의 가장 중요한 신, 치첸이트사의 쿠쿨칸

 

쿠쿨칸은 마야의 신 중에서 중요한 신중 하나이다. 이 신은 깃털 달린 뱀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른 메소아메리카에서도 이와 비슷한 뱀 신을 숭배하였다. 현재는 쿠쿨칸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마야인들은 쿠쿨칸을 비와 물, 또는 바람과 금성과 연결하여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우주를 창조한 신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대부분의 메소아메리카에서 믿었던 뱀신은 마야인의 사회계층의 질서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하거나 비슷한 신을 모시는 다른 부족들 간에 문화를 교류하며 서로 신뢰를 쌓으며 살아갈 수 있게 하였다.

 

잉카문명의 시작
 

 

# 13. 안데스 문명 - 잉카 제국의 탄생

마추픽추는 세계에서 가장 장려한 고고학 유적 중 하나이지만 결코 잃어버린 도시는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 지역 농민이 존재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략.. 탐험가 젠 사부아는 1964년 숲

taeahistory.tistory.com

 


마야가 멸망한 이유

 

#10. 마야 문명이 사라진 이유 - 마야 문명의 시작과 멸망(기후 변화)

마야 문명의 시작 우리는 마야 문명에 대해 익히 들어 알고 있다. 이들은 여러 미디어(영화나 소설, 게임 등) 심지어 세계사를 배울 때 수학에 0의 개념을 도입한 첫 문명이다. 초기 문자를 남겼

taeahistory.tistory.com